반응형

USB 바로가기(.lnk) 바이러스 해결 방법
아래의 글이 길어서 힘드실 것 같아 파일로 만들어서 공유해 드립니다.
사용방법
- USB를 꽂은 뒤 위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
- 프로그램이 뜨면 USB 드라이브 문자 (예: E, F, G 등) 입력
- 숨겨진 원본 파일들이 복구되고, 악성. lnk /. vbs 파일은 삭제됨
- 복구된 데이터는 바로 PC로 백업하세요
핵심 요약: USB를 꽂았을 때 .lnk 파일만 보이고 xxx.vbs 오류가 뜬다면 이는 전형적인 USB 바로가기 바이러스입니다. 다행히 원본은 대부분 숨겨져 있으니,
attrib명령으로 복구 후 백업→포맷하면 안전하게 해결됩니다.
1. 증상 확인
- USB에 .lnk 파일만 존재
- x642708.vbs 등 스크립트 오류 창 발생
- Drive·Shortcut 같은 낯선 폴더 표시
2. 원인: 바로가기 바이러스
악성코드가 원본 파일을 숨기고 동일한 이름의 .lnk를 생성해 사용자가 실행하도록 유도합니다. 실행 시 .vbs 스크립트가 작동하며 PC와 다른 USB로 전파됩니다.
3. 해결 가이드
3-1. 백신 검사
- USB 연결 전 백신 업데이트
- USB 삽입 후 정밀 검사 실행
주의: .lnk나 .vbs 파일을 실행하면 감염이 확산됩니다.
3-2. CMD로 숨김 해제
attrib -h -r -s /s /d E:\*.*
3-3. 불필요 파일 삭제
- .lnk, .vbs, autorun.inf 파일 모두 삭제
3-4. 데이터 백업·USB 포맷
- 복구된 파일은 PC·클라우드에 백업
- USB는 완전 포맷 후 사용
4. 재감염 방지법
- 백신 실시간 감시 켜두기
- 출처 불명 PC 사용 자제
- 중요 자료는 이중 백업
5. 참고 자료
정리
정리: USB 바로가기 바이러스는 attrib로 숨김 해제 → 악성 파일 삭제 → 백업·포맷 순으로 해결 가능합니다. 이 방법으로 꼭 해결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
반응형